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얼마 내나요? 미신고 과태료와 가산세 총정리!

by 폭싹 속았수다 2025. 5. 12.
반응형

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에 반드시 신고해야 하는 의무입니다. 하지만 이를 놓치거나 고의로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와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과 절세를 위한 수정신고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2025년 종합소득세 미신고 에 대한 이미지
2025년 종합소득세

📚 목차 바로가기

  1.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은 언제?
  2. 미신고 시 부과되는 가산세 종류
  3. 과세표준 신고불성실 가산세
  4. 납부불성실 가산세
  5. 무신고 가산세 계산 예시
  6. 신고 안 하면 어떤 불이익이 생길까?
  7. 수정신고·기한 후 신고로 절세하는 법

1.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은 언제?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5월 1일 ~ 5월 31일

입니다. 이 기간 내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로 간주되며 가산세 + 세무조사 리스크까지 발생합니다.

2. 미신고 시 부과되는 가산세 종류

  • 📌 무신고 가산세: 신고 자체를 하지 않은 경우
  • 📌 과소신고 가산세: 일부만 신고했거나 잘못 신고한 경우
  • 📌 납부불성실 가산세: 세금은 신고했지만 제때 납부하지 않은 경우

3. 과세표준 신고불성실 가산세

세무서가 인지한 금액이 실제보다 많을 경우, 그 차액에 대해 가산세가 붙습니다.

  • ✔ 일반 과소신고: 10% 가산
  • ✔ 부정행위로 과소신고: 40% 가산

4. 납부불성실 가산세

세금은 신고했으나 제때 납부하지 않았을 경우, 하루하루 이자처럼 붙는 가산세가 있습니다.

  • 연 10.95% (2024년 기준) 비율로 일할 계산
  • 늦은 일수 × 미납 세액 × 0.0003로 계산

 

5. 무신고 가산세 계산 예시

예를 들어 2024년 종합소득세 300만 원을 신고하지 않았다면:

  • 👉 무신고 가산세: 300만 원 × 20% = 60만 원
  • 👉 납부불성실 가산세(3개월): 약 27,000원 추가
  • 💥 총 약 627,000원 세금이 부과됩니다.

6. 신고 안 하면 어떤 불이익이 생길까?

  • 지방세 및 건강보험료 연동 불이익
  • ❌ 세무조사 대상 가능성 증가
  • ❌ 소득증명이 필요한 각종 금융기관 이용 제한

7. 수정신고·기한 후 신고로 절세하는 법

이미 신고 기간이 지났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가산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기한 후 신고: 신고기한 후 자진신고 → 무신고 가산세 일부 감면
  • 수정신고: 이미 신고했지만 오류 발견 시 다시 신고
  • 경정청구: 더 낸 세금을 돌려받을 때 활용

📌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손해만 늘어납니다!
제때 신고하고, 혹시 실수했다면 수정신고로 최대한 절세하세요. 

반응형